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0517(Print)
ISSN : 2288-9604(Onlin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18 No.3 pp.7-15
DOI :

고분자태양전지를 위한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의 연구동향

조미영, 김주현
608-831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 부경대학교 고분자공학과

Review of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for application of polymer solar cells

Joo Hyun Kim, Mi Young Jo
Department of Polymer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Yongdang-dong, Nam-Gu, Busan, 608-831, Korea

Abstract

Polymer solar cells have many advantage of ultra-thin, flexibility, process and so on, but alsohave disadvantage of low efficiency compare to silicon solar cells or dye-sensitized solar cells. Toimprove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polymer solar cells, it needs to study of various fields such asmaterials design, interfacial engineering, morphology, phase separation, device engineering, and electrodes.In this report, we will discuss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for polymer solarcells as an interfacial layer.

페이지_ 18권 3호 전체-7-15.pdf764.8KB

1. 서 론

고분자태양전지는 초박막, 재료의 유연성, 가공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져, 1995 년 Eastman Kodak의 C. W. Tang이[1] 이중층구조의 유기태양전지를 최초로 개발한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그리고 유기반도체의 에너지 준위를 잘 조절하면 이론적으로 10% 정도의 에너지 변환효율도 가능하다는 예측[2]과 함께 최근 실험실 규모에서 7-8%의 높은 에너지 전환효율[3, 4]의 보고는 고분자태양전지에 대한 실용화의 앞날을 밝게 하고 있다. 하지만 고분자태양전지는 실리콘태양전지나 염료감응형태양전지보다 낮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보여,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유기반도체 물질의 개발[5], 각 층간의 계면[6], 활성층의 모폴로지 또는 상분리[7], 소자의 구조, 전극 [8]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각 층간의 계면에 대한 연구는, 유기발광소자의 전자 주입층으로 lithium fluoride(LiF)와[9,10] 같은 부도체를 발광층과 음극 사이에 도입하여 문턱전압 (turn on voltage)의 감소와 발광효율의 증가를 보인 이후, 고분자태양전지의 전자 수송층으로 LiF를 적용하여 에너지 변환효율의 향상을 보고한 바 있다.[11] 이때 LiF는 Figure 1에서와 같이 태양전지 소자 내에서 dipole을 형성하여 Al과 같은 음극의 일함수를 낮춰 전자의 수집을 더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Al을 열 증착하는 동안 뜨거운 Al 원자로부터 활성층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하지만, LiF는 매우 얇은 층(<1.2 nm)으로 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진공증착을 하기 때문에 고속 대량방식인 roll-to-roll 방식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워 고분자태양전지에서 이상적인 계면이라 할 수 없다.[12] 최근 용액공정이 가능한 TiOx 또는 ZnO와 같은 금속산화물을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변환효율의 향상을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금속산화물을 sol-gel 방법으로 만들어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 200-300℃의 고온에서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이 또한 이상적인 계면이라 할 수 없어 새로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전에 수용성고분자인 polyethylene oxide (PEO)를 전자 수송층으로 도입하여 고분자태양전지의 개방전압 (Voc), 단락전류 (Jsc), fill factor (FF)를 각각 향상시켜 에너지 변환효율이 향상된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13] PEO는 LiF와 달리 용액공정이 가능하며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아 다층구조를 가지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부도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은 π-conjugated 고분자 사슬의 pendant 기에 전하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로 고분자의 성질과 전해질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는 고분자를 뜻한다. 이들 고분자전해질은 전하를 가지고 있어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되며, π-conjugated backbone으로 인해 우수한 전도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고분자전해질은 고분자태양전지[14-17], 고분자발광소자[18,19], 염료감응형 태양전지[20], 박막 트랜지스터[21]와 같은 유기전자소자뿐만 아니라 센서[22,23]등에 적용 가능한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의 특성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고분자태양전지에서 전자 전달층으로 적용된 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Figure 1. (a) Chemical structure of LiF and (b) energy level diagram of device with LiF/Al cathode

2. 본 론

2.1. 소자 내에서 π-conjugated 고분자전해 질의 역할

Bulk heterojunction 태양전지의 경우, 개방전압 (Voc)의 최대값은 p-doped donor에서 유도된 정공과 n-doped acceptor에서 유도된 전자의 quasi-Fermi 준위 사이의 값으로 결정된다 (Figure 2 (a)에서 Voc1로 나타냄). Voc가 최대값을 가지기 위해서는 음극, 양극 두 극과 활성층 사이에 이상적인 접촉인 ohmic contact이 일어나야 가능하며, 어느 한쪽이라도 에너지 장벽이 형성되면 schottky contact이 일어나 Voc가 감소된다. Voc의 감소된 정도는 양극과 음극의 일함수 차이인 내부 전계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2 (a)에서 Voc2로 나타냄). Figure 2 (b)에서와 같이, 태양전지에 다음과 같은 net dipole을 가지는 물질을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음극의 vacuum level이 내려가 음극의 일함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Figure 2 (c)와 같은 net dipole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음극의 vacuum level이 올라가 음극의 일함수가 감소된다. 즉, Figure 2 (b)와 같이 dipole이 형성되면, Voc2가 감소하여 schottky contact을 하며 전체적인 소자의 Voc또한 감소한다. 하지만 Figure 2 (c)와 같이 dipole이 형성되면, Voc2가 증가하여 ohmic contact을 하며, 그 결과 소자의 Voc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원리로,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의 net dipole이 Figure 2 (c)와 같이 형성되면, 음극의 일함수를 감소시켜 소자의 Voc향상뿐만 아니라 ohmic contact으로 소자의 직렬저항이 감소하여 Jsc, FF의 증가로 인한 변환효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23]또한 금속을 진공증착할 때 활성층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태양전지의 상용화 측면에서 보면, 전극이 우수한 산화방지 기능을 가지고 프린팅이 가능해야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어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우수한 산화방지 기능을 가지는 Au, Ag, Cu와 같은 금속은 큰일 함수로 인하여 Voc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은 앞에서 언급한 고분자전해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Voc의 감소를 완화 시킬 수 있다.

Figure 2. Energy level diagrams device with (a) a metal-only cathode , (b) cathode had a positive net dipole, and (c) cathode had a negative net dipole

2.2. fluorene 유도체를 기본구조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Fluorene 유도체는 전하가 도입된 두 개의 alkyl chain을 가질 수 있어, 극성용매에 대한 우수한 용해도를 가지므로 고분자전해질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의 하나이다. 김동유 교수님 그룹[15,25]에서는 WPF-oxy-F와 WPF-6-oxy-F (Scheme 1 참조)를 전자 수송층으로 태양전지에 도입하여 다양한 일 함수를 가지는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한 소자의 효율을 비교하였다.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지 않고 Al, Ag, Au, Cu를 음극으로 사용한 소자의 Voc는 각각 0.53 V, 0.33 V, 0.22 V, 0.27 V 으로 나타났다. Al을 음극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Al의 일 함수가 다른 금속보다 작기 때문에 다른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높은 Voc를 나타냈으며 (Figure 3), 이는 즉 PCBM의 LUMO 에너지 준위와 Al 음극 사이에 작은 에너지 장벽 (Φe)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이다. 그러나 Ag, Au, Cu를 음극으로 가지는 태양전지의 경우, 큰 일 함수로 인해 PCBM의 LUMO 에너지 준위가 맞지 않아, schottky contact으로 높은 직렬저항을 가져 낮은 Voc와 FF를 나타낸다. 하지만 WPF-oxy-F와 WPF-6-oxy-F를 도입하면 음극과 고분자전해질 사이에 dipole이 형성되어 음극의 일 함수를 감소시킨 결과 에너지 장벽(Φe)이 작아져, ohmic contact하여 큰 일 함수를 가지는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여도 높은 Voc를 나타내었다. 특히 저렴한 Cu를 사용하였을 때 변환 효율이 0.8 %에서 3.36 %로 훨씬 향상되어 상용화되었을 경우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cheme 1. Chemical Structure of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with fluorene derivatives as the backbone

Figure 3. a) Device structure and b) J-V curves of polymer solar cells with or without interfacial layer and i) Al, ii) Ag, iii) Au, and iv) Cu cathodes

또한 Y. Cao 그룹[14]에서는 fluorene을 backbone으로 하는 π-conjugated 고분자에 다양한 전하를 도입하였다. 다양한 전하를 가지는 고분자전해질이 PFO-DBT35[26], P3HT, MEH-PPV 고분자를 활성층으로 가지는 고분자태양전지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해 보았다. 고분자태양전지는 ITO/PEDOT:PSS/활성층/고분자전해질/Al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PFO-DBT35를 활성층으로 사용한 태양전지에서 Voc의 증가는 전하의 종류에 상관없이 150 mV정도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P3HT와 MEH-PPV를 활성층으로 가지는 소자의 경우 Voc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에너지 장벽(Φe)이 줄어들어 직렬저항이 감소하였다. 그 결과 FF가 증가하여, 에너지 변환효율이 향상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Table 1과 Figure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분자전해질의 두께를 증가시켰을 경우, dipole을 형성하지 못해 일반적인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이 가지는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분자전해질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소자 내에서 PCBM/고분자전해질에서 inverse heterojunction이 생겨 negative effect를 유도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두꺼워질 경우 ohmic contact에서 점점 벗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 엑시톤의 분리는 donor/acceptor, donor/고분자전해질 사이에서 일어나 고분자전해질의 두께가 얇으면 negative effect가 제한되지만, 두께가 증가하면 negative effect가 증가되어 소자의 효율이 감소되는 특성을 가진다.[27]

Table 1. Comparison of the Jsc,Voc,FF and PCE of devices employing different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as cathode interface layer

Figure 4. J-V curves of PFO-DBT35:PCBM, P3HT:PCBM and MEH-PPV:PCBM devices with or without interfacial layer

2.3. thiophene 유도체를 기본구조로 하는 고분자전해질

A. K. –Y. Jen 그룹[27]에서 fluorene 유도체와 전자가 부족한 unit 또는 전자가 풍부한 unit을 공중합하여 alcohol-soluble conjugated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전자 수송층은 전자가 부족한 unit이 도입된 고분자를 사용하였을 경우, 전자가 더 많이 주입되어 전자의 흐름이 원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로 태양전지에 도입하였을 경우 반대로 전자가 풍부한 unit을 도입하였을 때 효율이 더 향상되었다. 고분자 전해질을 버퍼층으로 도입했을 경우 주쇄는 활성층으로 배향되고, 알킬체인끝에 있는 전해질 부분은 전극쪽으로 배향 된다라고 알려져 있다. 이 때 주쇄의 전자가 풍부 할수록 활성층 쪽으로 배향이 용이 하기 때문이다. 전자가 풍부 이는 전자 수송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고분자의 backbone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최근 fluorene 보다 전자가 풍부한 thiophene 계열의 고분자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G. C. Bazan 그룹[17]과 P. Wang 그룹[28]에서는 polythiophene 유도체에 전하를 가지는 alkyl chain을 도입하여 태양전지의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하였다. G. C. Bazan 그룹에서, Scheme 2의 P3MAHT 또는 PF2/6-b-P3MAHT를 도입하여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5%에서 6.5%로 향상시킨 결과를 보고하였다 (Figure 5).

Scheme 2. Chemical Structure of π-conjugated polyelectrolytes with thiophene derivatives as the backbone

Figure 5. J-V curves of PCDTBT:PCBM devices with or without conjugated polyelectrolytes layer

3. 결 론

고분자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활성층과 전극 사이에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을 도입하였으며, 그 특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π-conjugated 고분자전해질은 활성층과 음극 사이에 dipole을 형성하여 음극의 일 함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큰 일 함수를 가지는 금속의 음극으로 사용하여도 높은 Voc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장벽이 감소하여 높은 FF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음극의 진공증착 시 뜨거운 금속입자로부터 활성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고분자태양전지가 빠른 시일 내에 상용화되기를 기대해본다.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2년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2012-0001356) 및 나노기반 정보에너지 사업본부-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2012K001279)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

1.C. W. Tang, Two-layer organic photovoltaic cell, Appl. Phys. Lett., 48, 183 (1986).
2.M. C. Scharber, D. Mühlbacher, M. Koppe, P. Denk, C. Wadauf, A. J. Heeger, and C. J. Brabec, Design rules for donors in bulk-heterojunction solar cells-towards 10 % energy-conversion efficiency, Adv. Mater., 18, 789 (2006).
3.H. J. Son, W. Wang, T. Xu, Y. Liang, Y. Wu, G. Li, and L. Yu, Synthesis of fluorinated polythienothiophene-co-benzodithiophenes and effect of fluorination on the photovoltaic properties, J. Am. Chem. Soc., 133, 1885 (2011).
4.T.-Y. Chu, J. Lu, S. Beaupre, Y. Zhang, J.-R. Pouliot, S. Wakim, J. Zhou, M. Leclerc, Z. Li, J. Ding, and Y. Tao, 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using thieno[3,4-c]pyrrole-4,6-dione and dithieno[3,2-b:2',3'-d]silole copolymer with a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7.3%, J. Am. Chem. Soc., 133, 4250 (2011).
5.(a) N. Blouin, A. Michaud, D. Gendron, S. Wakim, E. Blair, R. Neagu-Plesu, M. Bellet^ete, G. Durocher, Y. Tao, and M. Leclerc, Toward a Rational Design of Poly(2,7-Carbazole) Derivatives for Solar Cells, J. Am. Chem. Soc., 130, 732 (2008). (b) B. Kim, Y. Miyamoto, B. Ma, and J. M. Frechet, Photocrosslinkable Polythiophenes for Efficient, Thermally Stable, Organic Photovoltaics, Adv. Funct. Mater., 19, 2273 (2009).
6.(a) Y. Kim, S. A. Choulis, J. Nelson, D. D. C. Bradley, S. Cook, and J. R. Durrant, Composition and annealing effects in polythiophene/fullerene solar cells, J. Mater. Sci., 40, 1371 (2004). (b) R. Stein, F. R. Kogler, and C. J. Brabec, Interface materials for organic solar cells, J. Mater. Chem., 20, 2499 (2010).
7.(a) C. J. Brabec, F. Padinger, J. C. Hummelen, R. A. J. Janssen, and N. S. Sariciftci, Synth. Met., 102, 861 (1999). (b) J. Peet, J. Y. Kim, N. E. Coates, W. L. Ma, D. Moses, A. J. Heeger, and G. C. Bazan, Efficiency enhancement in low-bandgap polymer solar cells by processing with alkane dithiols, Nat. Mater., 6, 497 (2007).
8.(a) J. Jo, S.–S. Kim, S.–I. Na, B.–K. Yu, and D.–Y. Kim, Time-dependent morphology evolution by annealing processes on polymer:fullerene blend solar cells, Adv. Funct. Mater., 19, 866 (2009).
9.(b) G. Li, C.–W. Chu, V. Shrotriya, J. Huang, and Y. Yang, Efficient inverted polymer solar cells, Appl. Phys. Lett., 88, 253503 (2006).
10.J. Yoon, and J.-J. Kim, Evidence of band bending observed by electroabsorption studies in polymer light emitting device with ionomer/Al or LiF/Al cathode, Appl. Phys. Lett., 76, 2152 (2002).
11.T. M. Brown, R. H. Friend, I. S. Millard, D. J. Lacey, J. H. Burroughes, and F. Cacialli, LiF/Al cathodes and the effect of LiF thickness on the device characteristics and built-in potential of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77, 3096 (2000).
12.C. J. Brabec, S. E. Shaheen, C. Winder, and N. S. Sariciftci, Effect of LiF/metal electrodes on the performance of plastic solar cells, Appl. Phys. Lett., 80, 1288 (2002).
13.Q. S. Wei, T. Nishizawa, K. Tajima, and K. Hashimoto, Self-organized buffer layers in organic solar cells, Adv. Mater., 20, 2211 (2008).
14.F. Zhang, M. Ceder, and O. Inganas, Enhancing the photovoltage of polymer solar cells by using a modified cathode, Adv. Mater., 19, 1835 (2007).
15.C. He, C. Zhong, H. Wu, R. Yang, W. Yang, F. Huang, G. C. Bazan, and Y. Cao, Origin of the enhanced open-circuit voltage in polymer solar cells via interfacial modification using conjugated polyelectrolytes, J. Mater. Chem., 20, 2617 (2010).
16.S.–I. Na, S.–H. Oh, S.–S. Kim, and D.-Y. Kim, Efficient organic solar cells with polyfluorene derivatives as a cathode interfacial layer, Organic Electronics, 10, 496 (2009).
17.B. J. Worfolk, T. C. Hauger, K. D. Harris, D. A. Rider, J. A. M. Fordyce, S. Beaupre, M. Leclerc, and J. M. Buriak, Work function control of interfacial buffer layers for efficient and air-stable inverted low-bandgap organic photovoltaics, Adv. Energy Mater., 2, 361 (2012).
18.J. H. Seo, A. Gutacker, Y. Sun, H. Wu, F. Huang, Y. Cao, U. Scherf, A. J. Heeger, and G. C. Bazan, Improved high-efficiency organic solar cells via incorporation of a conjugated polyelectrolyte interlayer, J. Am. Chem. Soc., 133, 8416 (2011).
19.D. An, J. Zou, H. Wu, J. Peng, W. Yang, and Y. Cao, White emission polymer light-emitting devices with efficient electron injection from alcohol/water-soluble polymer/Al bilayer cathode, Organic Electronics, 10, 299 (2009).
20.J. S. Park, B. R. Lee, E. Jeong, H.–J. Lee, J. M. Lee, J.–S. Kim, J. Y. Kim, H. Y. Woo, S. O. Kim, and M. H. Song, High performance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with N-type metal oxide/conjugated polyelectrolyte hybrid charge transport layers, Appl. Phys. Lett., 99, 163305 (2011).
21.R.–H. Lee, J.–K. Liu, J.–H. Ho, J. -W. Chang, B.–T. Liu, H.–J. Wang, and R. –J. Jeng, Synthesis of quaternized ammonium iodide-containing 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s and their applica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Polym Int., 60, 483 (2011).
22.J. H. Seo, A. Gutacker, B. Walker, S. Cho, A. Garcia, R. Yang, T.–Q. Nguyen, A. J. Heeger, and G. C. Bazan, Improved Injection in n-Type Organic Transistors with Conjugated Polyelectrolytes, J. Am. Chem. Soc., 131, 18220 (2009).
23.S. Wang, B. Liu, B. S. Gaylord, and G. C. Bazan, Size-specific interactions between single- and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and cationic water-soluble oligofluorenes, Adv. Funct. Mater., 13, 463 (2003).
24.K.–Y. Pu, Z. Fang, and B. Liu, Effect of charge density on energy-transfer properties of cationic conjugated polymers, Adv. Funct. Mater., 18, 1321 (2008).
25.H.–L. Yip, S. K. Hau, N. S. Baek, H. Ma, and Z. K.–Y. Jen, Polymer solar cells that use self-assembled monolayer-modified ZnO/metals as cathodes, Adv. Mater., 20, 2376 (2008).
26.S.–H. Oh, S.–I. Na, J. Jo, B. Lim, D. Vak, and D.–Y. Kim, Water-Soluble Polyfluorenes as an Interfacial Layer Leading to Cathode-Independent High Performance of Organic Solar Cells, Adv. Funct. Mater., 20, 1977 (2010).
27.Q. M. Zhou, Q. Hou, L. P. Zheng, X. Y. Eng, G. Yu, and Y. Cao, Fluorenebased low band-gap copolymers for high performance photovoltaic devices, Appl. Phys. Lett., 84, 1653 (2004).
28.F. Hang, Y. Zhang, M. S. Liu, and A. K.–Y. Jen, Electron-R ich Alcohol- Soluble Neutral Conjugated Polymers as Highly Efficient Electron-Injecting Materials f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Adv. Funct. Mater., 19, 2457 (2009).
29.K. Yao, L. Chen, F. Li, and P. Wang, Influence of water-soluble polythiophene as an interfacial layer on the P3HT/PCBM bulk heterojunction organic photovoltaics, J. Mater. Chem., 21, 13780 (2011).